기업 분석

[2022.05] 하계 인턴으로 알아 보는 기업 뉴스-(2) 한국교통안전공단

붉은계피가루 2022. 5. 10. 18:02

 KOTSA 한국교통안전공단

 

0. 연혁

1981.07 교통안전진흥공단 설립 

1987.05 자동차성능시험연구소 설립

1995.04 교통안저공단으로 명칭 변경

2005.11 철도안전센터 설립

2009.03 안전운전체험연구교육센터 개소

2018.01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 명칭 변경

2018.11 위험물질운송안전관리센터 운영

2018.12 자율주행자동차 테스트베드( K-City) 준공

2020.09 화성 드론자격연구센터 개소

2021.07 창립 40주년 신비전 선포

 

"교통사고 없는 밝은 미래를 위하여"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 및 교통체계 운영관리 지원을 위한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안전한 교통환경을 조성하고, 교통안전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하며,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의 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1. 주요사업

1) 도로 교통안전 관리

2) 철도교통안전 관리

3) 항공 교통안전 관리

4) 자동차 검사

5) 자동차 안전시험/연구

6) 교통정보 서비스

7) 교통안전 체험교육

8) 자동차사고 피해가족지원

 

2. 비전/미션

- 비전 :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열어갑니다

- 미션 : 국가 교통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여 국민이 행복한 세상을 만든다

 

3. 2026 중장기 경영목표 체계도

4. 인재상

- 안전 우선 :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전문성, 책임감, 헌신성)

- 도전과 혁신 : 새로운 시대 선도 (혁신성, 미래지향, 도전정신)

- 소통과 화합 : 사람중심의 사고와 행동 (오픈 마인드, 협력)

- 공익과 상생 : 사회적 가치 추구 (공익성, 이타성)

 

5. 직무 소개

https://www.kotsa.or.kr/portal/contents.do?menuCode=06030400 

 

사람 중심 교통안전을 선도하는 세계 최고의 전문기관 - TS한국교통안전공단

사람 중심 교통안전을 선도하는 세계 최고의 전문기관, 자동차검사, 자동차안전연구, 사업용 자동차관리, 교통안전 조사연구 정보 제공 정보시스템의 구축, 운영 기술 지침을 준수하여 제작하

www.kotsa.or.kr

 

6. 채용공고

https://www.kotsa.or.kr/portal/bbs/recruit_view.do?bbscCode=recruit&cateCode=&bbscSeqn=18088&pageNumb=1&sechCdtn=&sechKywd=&menuCode=06030500 

 

사람 중심 교통안전을 선도하는 세계 최고의 전문기관 - TS한국교통안전공단

사람 중심 교통안전을 선도하는 세계 최고의 전문기관, 자동차검사, 자동차안전연구, 사업용 자동차관리, 교통안전 조사연구 정보 제공 정보시스템의 구축, 운영 기술 지침을 준수하여 제작하

www.kotsa.or.kr

7. 보도자료

2022.05.09  한국교통안전공단-한국에너지재단 "자동차사고 피해가족 등 에너지효율 개선" 협력

공단은 전국 14개 지역본부를 통해 자동차사고 피해가정, 저소득층 등 재단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 취약계층을 지속 발굴 추천하고 공단이 수행중인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융합하여 대상자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2022.04.22  신림선 도시철도 철도안전관리체계 승인검사 시행

공단은 샛강에서 서울대를 잇는 신규 개통 예정인 신림선 도시철도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해 철도안전관리체계 최초 승인검사를 시행한다. 이번 검사 대상은 시행사인 남서울경전철(주)이며 신림선 도시철도 신규 개통에 따라 수립한 철도안전관리체계가 적합한 지를 검사한다. *샛강(9호선)~대방(국철)~보라매(7호선)~신림(2호선)~서울대 약 7.76km 구간

 

2022.04.08  공공데이터 개방으로 항공종사자 기량 향상

공단의 항공자격분야 보유 데이터의 민간 개방 및 활용을 위해 항공정비사 전문교육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협약을 통해 공단은 교육기관별 교육생의 항공정비사 학과시험 세목별 정답률(공공데이터)를 제공하고, 각 교육기관은 자체 분석을 통해 취약세목을 확인하여 집중 교육보완한다.